반응형
다이어트를 할 때, 장기적이든, 단기적이든 식단 조절은 다이어트를 거쳐갈 때, 꼭 조절 해야하는 부분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먹어도 배가 쉽게 꺼진다면, 혈당 지수를 알아보고 가는 것도 해답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혈당은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이라 하고,
혈당 지수(GI)는 탄수화물이 든 음식을 섭취할때, 얼마나 빨리 혈당(수치)을 올리는지를 측정한 수치이다.
혈당 지수, 이게 왜 중요한가?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한꺼번에 급격하게 올랐다가 그와 비슷하게 빠르게 떨어져 공복감을 느끼게 한다.
혈당 지수가 낮은 식품은 천천히 조금씩 혈당이 올랐다가 차츰차츰 떨어진다.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설탕, 감자처럼 아밀로펙틴이 많은 녹말질 음식이거나, 조리를 완벽하게한 음식으로 , 의외로 흰 쌀밥이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에 해당한다.
물론 혈당지수 자체가 건강한 음식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감자튀김은 삶은 감자보다 혈당 지수가 낮지만 지방이 엄청나게 많기때문이다.
반응형
'요리지식 > 넓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같은 가루인 줄 알았어? 인절미 겉가루와 미숫가루 차이 (0) | 2022.01.31 |
---|---|
맥주는 왜 색유리 병에 담아 판매하지? - 맥주병에 색깔이 있는 이유 (0) | 2022.01.31 |
파스타의 '알덴테', 이렇게 먹으면 좋은 이유는? (0) | 2022.01.31 |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차이 (+글루텐의 추출 방법, 용도) (0) | 2022.01.28 |
녹차와 말차의 차이, 맛과 가격 (0) | 2022.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