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헬스인들은 방구, 탄수화물을 안먹는 사람은 입냄새가 난다? 운동하는 사람이 식단 조절을 하면서 방구냄새가 심하다는것은 한번쯤은 경험해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탄수화물을 먹지 않는 사람들은 입냄새가 난다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입냄새의 원인, 케톤 탄수화물을 충분히 먹지 않으면 간에서 지방을 케톤으로, 단백질을 포도당으로 바꾸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케톤 식이 요법은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지만, 케톤이 호흡으로 배출되며, 입 냄새의 원인이 된다. 2022. 2. 1.
배고픔과 식욕은 엄연히 다른것이다! (식욕 억제 물질 6가지) 우리는 배고픔과 식욕의 차이점을 잘 알지 못한다. 평범한 사람들도 배고픔과 식욕을 느끼고,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들도 똑같이 배고픔과 식욕을 느낀다.과연 배고픔과 식욕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배고픔과 식욕의 차이 배고픔은 음식에 대한 생리적 욕구로, 뇌와 소화기관, 지방 저장 등 서로 연관된 복잡한 시스템의 제어를 받으며, 저혈당이나 공복감 같은 내적인 신호로 생겨난다. 외적인 요인으로도 촉발될 수 도 있다. 식욕은 음식을 보거나 냄새를 맡았을 때 처럼 외적인 요인으로 생기는 연상 작욕으로 먹으려는 욕망을 뜻한다. 얼마나 먹었는지에 대한 기억도 식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도 식욕을 높일 수 있다. 일부 물질은 특정한 영향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식욕을 억제하는 물질 물 : 물은 .. 2022. 2. 1.
똑같은 가루인 줄 알았어? 인절미 겉가루와 미숫가루 차이 뭔가 다른것을 알고 있지만, 어떤게 정확하게 다른지는 모르는 콩고물과 미숫가루 차이 우리가 아는 용도로는 인절미 떡에 뿌려 먹는 가루는 콩고물, 또는 인절미 빙수에 있는 가루도 콩고물이다. 하지만 미숫가루는 우유나, 물과 꿀,설탕과 함께 섞어 마시는 가루로 사용되나 정확한 차이는 무엇일까? 미숫가루 : 쌀(찹쌀, 멥쌀, 보리 등)을 쪄서 말리고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이다. 현대에 들어서 영양분의 균형적인 섭취가 중요시되자 콩 등 여러 다른 잡곡, 또는 해조류나 쑥 등의 가루를 추가하기도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은 17곡이 유명하며, 종류는 보리, 찹쌀, 맵쌀, 대두, 현미, 옥수수, 메조, 밀쌀, 수수 가 (약 98%) 나머지는 흑태, 율무, 참깨, 땅콩, 호박씨, 메밀, 검은깨, 흑미로 종류되.. 2022. 1. 31.
맥주는 왜 색유리 병에 담아 판매하지? - 맥주병에 색깔이 있는 이유 우리가 흔히 마시는 맥주는 보통 갈색 병으로 알고 있다. 세계 맥주도 무조건 색깔이 있는 병에 담겨있다. 물론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왜 맥주 병은 갈색과 초록색처럼 색깔이 있는 병에 담는 것일까? 맥주는 왜 색유리병에 담아 판매될까? 갈색이나 색이 있는 유리병은 맥주를 상하게 하는 자외선을 차단한다. 맥주가 상하는 변질 과정은 '스컹크 냄새, 또는 '일 광취'라고도 알려져 있다. 2022. 1. 31.
뭘 먹어도 배가 쉽게 꺼진다면? - '혈당 지수' 간단 설명 다이어트를 할 때, 장기적이든, 단기적이든 식단 조절은 다이어트를 거쳐갈 때, 꼭 조절 해야하는 부분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먹어도 배가 쉽게 꺼진다면, 혈당 지수를 알아보고 가는 것도 해답 중에 하나가 될 수 있다. 혈당은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이라 하고, 혈당 지수(GI)는 탄수화물이 든 음식을 섭취할때, 얼마나 빨리 혈당(수치)을 올리는지를 측정한 수치이다. 혈당 지수, 이게 왜 중요한가?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한꺼번에 급격하게 올랐다가 그와 비슷하게 빠르게 떨어져 공복감을 느끼게 한다. 혈당 지수가 낮은 식품은 천천히 조금씩 혈당이 올랐다가 차츰차츰 떨어진다.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설탕, 감자처럼 아밀로펙틴이 많은 녹말질 음식이거나, 조리를 완벽하게한 음식으로 , 의외로 흰 쌀밥이 .. 2022. 1. 31.
파스타의 '알덴테', 이렇게 먹으면 좋은 이유는? 파스타를 만들어 먹는 사람이라면 무조건 알만한 '알덴테', 하지만 알 덴테 상태로 해서 먹는 이유는 잘 모르실 텐데요. 왜 파스타를 만들 때, '알덴테' 상태로 만들어 먹는 것일까요? 알 덴테 (al dente)의 뜻은 알덴테(Al dente)는 치아로 씹었을 때 단단함이 느껴질 정도로 설익었다는 뜻으로, 알덴테의 덴테(dente)는 이탈리아어로 ‘치아’를 뜻한다. 반대로 충분히 익힌 상태는 벤코토(Ben cotto)라 칭한다. 알 덴테로 요리하는 이유는? 심이 살아 있어 씹기 힘든 '알덴테'로 요리하는 파스타는 충분히 익힌 '벤 코토'보다 몸속에서 더 천천히 분해된다. 그래서 당분을 만드는 속도가 더 느려져 혈당 지수가 낮아지므로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줄일 수 있다. 2022. 1. 31.
반응형